어린시절&학창시절&봉산교회시절

한국기독교장로회의 정체성

밀알공동체 시나브로 2023. 2. 19. 10:34

1한국장로교의 전통을 이어 계승하는 우리 교단은 언제 출범했으며 교단 이름은 어떤 과정을 거쳐 확정되었는가? (***) 1.주후 1953 6 10 7개 노회 80여명의 대표가 서울 중구 동자동에 위치했던 당시 한국신학대학 대강당에서 대한예수교장로회 제38회 호헌총회를 개최하고 호헌총회 결의로 출범하였다. 2.주후 1954 6 10일 제39회 총회 때 [대한기독교장로회]로 교단 이름을 변경했다가 주후 1961 9월 제46회 총회에서 [한국기독교장로회]로 교단이름을 확정하였다. 2우리 교단이 출범할 때 국내외와 세계에 선언한 기본적 소신과 지도 이념 4가지는 무엇인가? (***) 첫째, 우리는 온갖 형태의 바리새=보수주의를 배격하고 오직 살아계신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구원 얻는 복음의 자유를 확보한다(바리새=보수주의 배격과 복음의 자유 확보). 둘째, 우리는 전 세계 장로교회의 테두리 안에서 건전한 교리를 수립함과 동시에 신앙양심의 자유를 확보한다(신앙양심의 자유 확보). 셋째, 우리는 노예적인 의존사상을 배격하고 자립자조의 정신을 함양한다(학문 연구 자유와 자립자조정신 함양). 넷째, 그러나 우리는 편협한 보수=고립주의를 경계하고 전 세계 성도들과 협력 병진하려는 세계교회 정신에 철저하려 한다(교회일치성 추구와 에큐메니칼 정신 고취). 3우리 교단이 장로교의 새로운 가지로서, 혹은 새 술을 새 부대에 담을 수밖에 없도록 만든 교단 출범 당시 예수교장로회의 불법 결의 세 가지는 무엇인가? (***) 첫째, 36회 총회에서 노회에 수의도 없이 한국신학대학의 직영을 취소하는 결의를 한 일. 둘째, 37회 총회에서 김재준 목사(그리고 카나다 선교사 서고도 목사)를 제명하고, 교수직을 파면하고, 그들을 옹호, 지지하는 이들에 대하여 모두 목사직을 파면시키고 한국신학대학 졸업자에 대하여 목사 안수를 못받게 하는 불법적인 결의를 한 일. 셋째, 38회 총회에서 앞서 위에 언급한 제36, 37회 총회의 불법 결의를 시정하려고 모인 호헌대회 참석자와, 36, 37회 총회의 불법 결의를 반대하는 노회에 대하여 총대권을 박탈하는 결의를 한 일. 4우리 교단의 직영 신학교육기관은 무엇이며 교단과의 관계는 무엇인가? (***) 우리 교단의 교역자 양성 직영 신학교육 기관은 한신대학이다. 교단 총회는 한신학원 이사회 정관에 정한 바에 따라 이사를 파송하고, 이사회가 선임한 총장을 인준한다. 한신대학은 교단 교역자를 육성 배출하고, 교단의 신학적 과제를 개발, 탐구, 선도, 제시한다. 5우리 교단의 직영 신학교육 기관인 한신대학의 역사에 관해 말하라. 한신대학은 주후 1939년 조선신학원 설립(설립자~김대현 장로)으로부터 시작한다. 근본주의 선교사의 신학 지배와 일제 식민지 지배 시대에서 신학연구의 주체적 자유와 교역자 양성기관의 자립적 운영의 뜻 위에 김대현·송창근·김재준의 헌신으로 출범하였다. 주후 1948 [조선신학대학]으로 발전했고(대학재단 설립공헌자~진정률 장로), 주후 1951 [한국신학대학]으로 개명했으며, 주후 1980 [한신대학]으로 확장 발전했다. 현재 한신대학교 서울(수유리) 캠퍼스엔 전문적 대학원으로 신학대학원이 있고 수원캠퍼스에 대학원 및 신학과를 포함한 다양한 학과가 있다. 6우리 교단의 총회 기관에는 어떤 기관들이 있는가? (**) 총회본부, 한신대학교, 교육원, 남신도회전국연합회, 여신도회전국연합회, 청년회전국연합회, 교회학교교사 전국연합회, 기독교농촌개발원, 한국기독교장로회 신학연구소, 총회유지재단, 총회연금재단, 사회복지법인 한국기독교장로회총회 등이 있다. 7우리 교단이 이사나 대표를 파견하고 있는 국내 연합기관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한국기독교사회봉사회, 대한기독교교육협회, 한국찬송가공회, 한국기독학생회총연맹, 대한성서공회, 대한기독교서회, 기독교연합봉사회, 원주기독병원, 연세대학교, 기독교중앙방송국, 한국기독교연합사업유지재단, 한국기독교회관 관리위원회, 한국기독교연합회관 운영위원회, ()기독교텔레비젼 등이 있다. 8우리 교단과 상호 협력관계를 맺고 있는 세계교회, 기관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 세계교회협의회 World Council of Churches (주후 1959) 세계개혁교회연맹 World Alliance of Reformed Churches (주후 1960) 아시아기독교협의회 Christian Conference of Aisa (주후 1959) 독일교회협의회 Evangelishche Kirches in Deutchland - 한국교회협의회간의 협약(주후 1983) 베를린선교회 Berliner Missionwerk(주후 1974) 베를린브란덴부르그주교회 Evangelical Church in Berlin-Brandenburg 독일서남지구선교회 Evangelical Missionwerk in South-West Germany(주후 1974) 바덴주교회 Evangelical Church in Baden 뷰템베르그주교회 Evangelical Church in W ttemerg 헷센나사우주교회 Evangelical Church in Hessen and Nassau 북독교회 Nordelbian Evangelical-Lutheran Church 독일개신교원조처 Evangeliche Zentralstelle F r Entwicklungshilfe E.V. 스코틀랜드교회 The Scotland Church(주후 1980) 영국연합개혁교회 The United Reformed Church(주후 1975) 스위스개신교회 Federation of Swiss Protestant Churches(주후 1988) 헝가리개혁교회 Reformed Church in Hungary(주후 1995) 카나다연합교회 United Church of Canada(주후 1955) 미국그리스도연합교회 United Church of Christ in the U.S.A.(주후 1983) 미국제자교회 Christian Church (Disciples of Christ 주후 1992) 미국장로교회 Presbyterian Church in the U.S.A.(주후 1986) 호주연합교회 Uniting Church in Australia(주후 1985) 뉴질랜드장로교회 Presbyterian Church in Newzealand(주후 1982) 일본기독교단 United Church of Christ in Japan(주후 1967) 재일대한기독교회 Korean Church of Christ in Japan(주후 1973) 인도독립교회 Independent Church of India(주후 1996) 대만장로교회 Presbyterian Church of Taiwa(주후 1975) 동부아프리카장로교회 Presbyterian Church of East Africa(주후 1993) 동부아프리카개혁교회 Reformed Church of East Africa(주후 1995) 중앙아프리카장로교회 Church of Central African Presbyterian(주후 1995) 9한국기독교장로회 총회 산하 노회 수는 몇 노회이며 노회 이름은 무엇인가? (주후 1997년 현재) (***) 22개 노회 서울노회, 서울북노회, 서울남노회, 서울동노회, 경기노회, 경기남노회, 인천노회, 경기중부노회, 경기북노회, 충북노회, 충남노회, 대전노회, 전북노회, 전북서노회, 전남노회, 광주노회, 경북노회, 대구노회, 경남노회, 부산노회, 강원노회, 제주노회 10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KNCC)에 가입한 교단 이름은 무엇 무엇이며 우리 교단은 언제 가입하였는가? (**) 한국기독교장로회,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기독교대한감리회, 기독교대한복음교회, 대한성공회, 구세군, 한국정교회,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 등 8개 교단이며, 우리 교단은 주후 1957 10월 가입하여 교회연합운동을 활발하게 전개해 왔다. 11우리 교단이 가입하고 있는 아시아 및 세계 교회 연합기관 이름을 말하라. 1.아시아기독교협의회(주후 1959년 가입. CCA. Christian Conference of Asia) 2.세계개혁교회연맹(장로교)(주후 1959년 가입, WARC. World Alliance of Reformed Churches) 3.세계교회협의회(주후 1960년 가입, WCC. World Council of Churches) 12세계교회협의회(WCC)에 관해 아는 바를 말하라. (**) 주후 1948년 암스텔담에서 세계교회 147개 교파와 교단 대표가 모여 **예수 그리스도* *하나님*의 아들이요 우리들의 구주이심을 믿는 모든 교회*가 함께 교회의 일치성, 보편적 우주성, 사도성, 거룩성을 재획인하며, 오늘날 세계의 구원을 위해 함께 선교의 일에 협력하고, *그리스도* 형제 자매 간의 성도 교제를 굳게 함을 목표로 하였다. 현재는 개신교의 모든 교파, 성공회, 희랍정교회 등 300여 종파가 참여하고 있고 본부는 제네바에 있다. 13세계교회협의회(WCC)의 목적과 본질 및 현재 가입한 전세계 교회 현황을 말하라. (*) 1.세계교회협의회는 모든 교회들을 도와 어느 정도 피차 용납할 수 있는가를 발견하도록 도우며, 전세계의 교회를 위하여 각 교파(또는 종파)의 은사를 봉사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준비시킨다. 2.세계교회협의회는 성경의 증언에 따라 *주 예수 그리스도* *하나님*의 아들 또는 *구주*로 고백하고 *성부·성자·성령*의 영광을 위하여 공통된 소명으로 응답하려는 모든 교회의 형제적 협의회이다. 3.현재 100여개국 4 5천만 신도를 대표하는 300여 교파가 가맹하고 있으며(개신교·희랍정교회·성공회는 정식회원), 로마 가톨릭교회를 옵서버로 초청하기도 한다. 14주후 1970년대와 주후 1980년대 중반기까지 우리 교단이 채택하여 신앙과 교회활동의 지표로 삼았던 4대 문서는 무엇무엇인가? (***) 1.신앙고백선언서(주후 1972년 채택) : 한국기독교장로회 전체의 공동신앙고백이 천명된 신앙선언이다. 2.선교정책(주후 1973년 채택) : 우리 교단이 선교하는 자세, 방향, 결의가 천명되어 있다. 3.사회선언지침(주후 1971) : 교회, 문화, 사회, 정치, 국제문제 등 여섯 영역에 걸친 우리 교단의 사회선언 선교정신이 천명되어 있다. 4.교회교육정책(주후 1969):'*하나님*의 선교' 신학에 기초를 둔 우리 교단의 교육방향이 제시되어 있다. 15주후 1987년 한국기독교장로회 제72회 총회에서 채택한 우리 교단의 *한국기독교장로회 1987년 신앙선언, 교회선교, 교회교육정책* [5문서]에는 어떤 내용이 담겨 있는가? (***) 그동안 사용하던 4가지 교단 문서의 정신을 계승하면서 다음 내용을 새롭게 정립하여 싣고 있다. 1.오늘의 현실과 교회 선교상황에 대한 인식 2.주후 1987년 신앙선언 3.오늘의 선교와 우리 교단 4.교회선교정책 5.사회선교정책 6.교회교육정책 16우리 교단의 [5문서]가 우리들의 신앙고백·선교·교육적 사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원리로 삼은 4가지 원리는? (***) 1.정의의 원리 2.사랑의 원리 3.평화의 원리 4.창조세계 보전의 원리 17[정의의 원리] [사랑의 원리]가 지향하는 목적은 무엇인가? (**) *하나님*의 공의가 강처럼, *하나님*의 사랑이 햇빛처럼 모든 삶의 영역에 실현되어 자유와 평등이 동시에 구현되고, *하나님*의 형상을 지닌 인간들이 모두 함께 인간답게 사는 공동체 구현에 있다. 18[평화의 원리] [창조세계 보전의 원리]가 지향하는 목적은 무엇인가? (**) 땅 위의 모든 생명을 파괴하는 보수=어둠의 세력, 보수적인 전쟁과 보수적인 폭력, 개인 및 집단적 보수적인 이기심을 극복하여 *하나님*의 창조세계가 서로 유기체적으로 어울려 사는 생명문화를 구현하여 샬롬 곧 *하나님*의 평안이 모든 피조 세계에 실현되는 *하나님*의 나라를 구현함에 있다. 195문서에 나타난 *하나님*의 선교신학이 지향하는 바는 무엇인가? (**) 1.인류 구원의 경륜을 세우시고 역사를 주관하시는 *하나님*의 주권 앞서 선행함을 고백함. 2.선교의 주체는 *하나님*이시며 우리 신자들은 *하나님*의 하시는 일에 동참하도록 부름받는다고 고백함. 3.*하나님*은 국가·성별·종교단체의 한계를 넘어 전세계 전 피조물을 구원하시려고 삶의 모든 영역에서 일하신다고 고백함. 4.교회는 *하나님*의 구원 경륜의 그릇으로 세계구원을 위해 있으므로 세상을 저버린 보수교권적 교회주의를 극복하려 함. 20교단 제5문서에서 살펴 본 우리 교단이 기장 교단다운 교단의 자기 정체성은 어떻게 표현되는가? (***) 1.기장 교단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복음이 주는 '자유'를 지킨다. 2.기장 교단은 예언자적 전통을 잇는 인간해방의 운동에 힘쓴다. 3.기장 교단은 정치, 경제, 문화, 신학사상 운동에서 주체적 자립정신을 지켜나간다. 4.기장 교단은 에큐메니칼 정신에 투철하고 선한 인류공동체 집단과 협동 및 개방성을 증신시킨다. 5.기장 교단은 거듭거듭 개혁해 가는 개혁정신을 잇는다. 21우리 교단의 [선교정책]이 관심하고 있는 선교영역 10가지를 말해 보라. (**) 1.전도와 개척교회 2.도시선교 3.도시빈민선교 4.노동자선교 5.농어민선교 6.문화 및 매스콤 선교 7.학원 및 병원 선교 8.군대사회와 경찰사회에서의 선교 9.신체장애인과 요보호대상자 선교 10.세계선교와 해외교포 선교 22우리 교단의 [사회선교 정책]이 지향해가는 7가지 지표를 말해보라. (**) 1.정의와 평화공동체 선교 2.민중지향적 사회선교 3.사회이념의 선도 4.세계 패권주의 국가들의 군사·정치·경제 지배체제의 극복 5.남북한 분단현실 극복 6.악한=보수적인 폭력사용에 대한 비판적 저항 7.시민의 의무로서 그리고 몸으로 드리는 산 제사로서의 신앙인의 정치 참여 23교단의 [교회교육정책]이 지향해 가는 교육지표는? (**) 1.성경에 근거해서 인간과 자연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는 교육을 지향한다. 2.개인주의적 인간이해에서 공동체적 인간 교육으로, 추상적인 교육에서 구체적인 삶의 체험 교육으로, 이원론적 교육에서 전인적 인간 교육으로 전향한다. 3.진보정의와 사랑을 위한 교육을 지향한다. 4.평화의 인간을 위한 교육을 지향한다. 5.창조세계 보전을 위한 교육을 지향한다. 24기독교 교육지도자의 자격을 말하라. (**) 1.기독교 진리를 깊이 사랑하고 이해하는 자. 2.깨달은 진리를 삶에 구현시키도록 노력하는 자. 3.가르치려는 주제에 대해서 깊은 조예를 가진 자. 4.계속해서 배우는 자. 5.언제나 학생들에게 지대한 관심을 가지는 자. 6.가르치는 비결과 적절한 방법을 체득한 자. 7.감정 및 정서적으로 성숙한 자. 8.교육에 종사할 수 있는 조건을 구비한 자. 25 한국기독교장로회(한국장로교회)의 최초 설립교회, 노회, 총회는 언제였는가? (***) 1.주후 1884, 한국 개신교 최초 교회로 황해도 송천리에 솔래교회가 설립됨. 2.주후 1885,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 언더우드 목사 내한 3.주후 1887, 한국 최초 조직교회(장로교회 조직)~2인의 장로 장립(평양의 김진섭·솔래의 서경조) 새문안교회 설립. 4.주후 1901, [조선예수교장로회 공인회] 설치 5.주후 1907, [대한예수교장로회 노회]를 평양 장대재 교회에서 조직함. 6.주후 1912, 1 [예수교장로회 조선 총회] 7노회 목사 96, 장로 125인으로 모임. 26분단된 조국의 평화·통일에 대한 우리 교단의 입장은 무엇인가? (***) 1.화해의 복음정신으로 민족의 동질성 회복과 대화, 교류에 노력한다. 2.복음이 주는 자유에 굳게 서서 어떤 형태의 정치이념을 신성시하거나 우상화하지 아니한다. 3.평화의 복음정신에 순종하여 남북한의 군비경쟁, 군사대치, 한반도 핵기지화를 반대한다. 4.통일은 민족구성원 국민의 주체적인 뜻이 존중되어야 하며 국내 및 국제적 열강들의 정치협상의 대상이 되어서는 안된다. 5.자유와 평등이 실현되는 민족공동체를 위해 평화·통일 정책을 끝까지 추구하며 세계교회 형제들과 협력한다. 27교단 총회 실행위원회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 총회 임원, 노회 대표, 안건심의부서원, 해외협동선교동역자로 구성되며, 언권위원으로 총회 감사, 한신학원 이사회 이사장, 총회교육원 원장 등이 참석한다. 28교단 총회 산하 상임위원회에는 어떤 위원회들이 있는가? (**) 헌법위원회, 고시위원회, 총회유지재단이사회, 재판국, 선교위원회, 해외선교협력위원회, 교회와 사회위원회, 평화·통일위원회, 총회연금재단이사회, 신도위원회, 재정위원회, 생활보장제위원회, 선거관리위원회, 공천위원회, 한신학원이사회, 기독교농촌개발원운영위원회, 한국기독교장로회 신학연구소 이사회, 사회복지법인 한국기독교장로회 총회, 감사. 29총회장과 부총회장, 교단 총무의 임기는 몇 년인가? (**) 총회에서 선출하며 총회장·부총회장은 1, 총무는 4년이다. 30교육원이 관장하는 중요 업무는 무엇이 있는가? (**) 교역자 계속교육, 이동교육, 여교역자교육, 군목교육, 평신도지도자 및 청년교육, 구역예배 교본과 교회학교 교재 등 정기적인 교재 출판사업, 교회교육 지도자 훈련교육 등이 있음. 31회장의 직무는 무엇이며 회장이 동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 회장은 사회에 대한 모든 권한과 책임을 가지고 회의를 진행한다. 회장이 동의하려면 다른 회원이 사회하도록 하고 회원석에서 하여야 한다. 그 안건이 결정될 때까지는 사회하지 못한다. 32개회는 어떻게 하나? (**) 정한 시간이 되면 회장은 개회 기도회를 인도함으로 개회한다. 33회의의 개회 성수에 대하여 쓰라. (**) 따로 정한 규정이 없으면 성수는 전회원의 과반수이며, 성원이 되었으면 회장은 개회를 선언한다. 34성수가 되지 못하는 경우 어떻게 하나? (**) 성수가 되지 못하였으면 30분을 더 기다리고 그래도 성수가 되지 못하면 회장은 회중에게 물어 더 기다리든지 다음 회의의 일시와 장소를 결정하고 유회한다. 35회의록 작성과 채택에 대하여 쓰라. (**) 회의록은 서기가 작성한다. 회의록에는 일시, 장소, 출석자 수 또는 출석자 성명(소규모 회의), 회의 보고, 결의사항(동의자, 재청자의 성명과 가부수를 기재할 수도 있고 아니할 수도 있다) 등을 적고 회의가 채택한 후 회장과 서기의 서명 날인이 있어야 한다. 36동의에 대하여 쓰라. (**) 동의는 정회원만이 할 수 있다. 동의는 재청이 있어야 성안이 된다. 동의한 회원이 토론에 먼저 언권을 갖는다. 37언권과 예의에 대하여 쓰라. (**) 회원은 회장을 불러서 언권을 얻은 후에 발언하여야 하며, 회장에 대해서는 정중한 예의를 갖추어야 하고 다른 회원의 인격을 존중해야 한다. 38토론 순위에 대하여 쓰라. (**) 토론의 순위는 제안자, 반대자, 찬성자를 번갈아 발언하게 한다. 한 제안에 한 회원이 한번 발언하는 것이 원칙이나 회장이 허락하면 두 번까지 할 수 있다.

 

                            * 한국 기독교 장로회 총회 SITE에서 발췌 *

 

                                     * 마 라 나 타 *